crossorigin="anonymous">
본문 바로가기
728x90
반응형

세무7

일반과세자? 간이과세자? 차이 일반과세자일반과세자는 10%의 세율이 적용되는 반면, 물건 등을 구입하면서 받은 매입세금계산서상의 세액을 전액 공제 받을 수 있고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있습니다.연간 매출액이 8천만원 이상으로 예상되거나, 간이과세가 배제되는 업종 또는 지역에서 사업을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일반과세자로 등록하여야 합니다.* 일반과세자 장점: 매입세액을 공제받아 세금 환급 가능. 세금계산서 발행 가능.간이과세자간이과세자는 1.5%~4%의 낮은 세율이 적용되지만, 매입액(공급대가)의 0.5%만 공제받을 수 있으며, 신규사업자 또는 직전연도 매출액이 4천8백만원 미만인 사업자는 세금계산서를 발급할 수 없습니다.(대신 영수증, 신용카드 영수증 제공)주로 소비자를 상대하는 업종으로서 연간 매출액이 8천만원(과세유흥장소 및 부동산.. 2024. 12. 18.
사업자등록할 때 임대차 계약을 집주소로 해도 되는지? (임대료를 줄이는 방법) 결론만 우선 이야기 하면 사업자등록은 집에서도 얼마든지 가능하며, 반드시 매장이나 사무실을 구해 사업자를 낼 필요는 없다.세무서는 반복성을 기준으로 사업자를 판단한다. 물품을 계속 반복적으로 판매하고 있다면 사업자에 해당한다.아울러 내집이 아닌 전세집에서더 사업자를 낼 수 있다. 집을 사업장 주소로 이용할 수 있어 초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특히 전자상거래의 경우, 집에서 사업자등록을 한 뒤 사업을 진행할 수 있지만, 제조업처럼 집에서 제조가 어려운 경우에는 별도의 공장이나 외주 가공업체가 필요할 수 있다.단, 집을 주거 목적으로 사용하는 경우 집의 비용은 사업 관련 비용으로 처리할 수 없고, 전자상거래를 하는 경우 반드시 신고 후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 만약 신고하지 않고 물건을 판매하면, 거래 상.. 2024. 12. 18.
수탁자와 위탁자 구별(신탁 재산세 납부자) 간단히 1. 수탁자위탁자로부터 주식, 부동산(토지나 건물)등을 받아서 관리하는 사람 2. 위탁자(신탁자) = 납세의무자위탁자는 위탁하는 사람. 즉, 재산권, 주식, 부동산(건물,토지등)을 수탁자에게 맡기는 사람 신탁 관련 재산세는 누가 낼까요? 재산세는 위탁자가 내게 됩니다. 신탁법에 따른 수탁자의 명의로 등기 등록된 신탁재산의 경우 위탁자가 납세의무자 입니다.(실제 소유가 위탁자 소유이므로 소유자가 재산세 납부합니다) 9900원 https://link.coupang.com/a/bPoJLf 허니비푸드 잡화청, 2kg, 1개 - 잼/꿀/시럽 | 쿠팡현재 별점 4.5점, 리뷰 1,341개를 가진 허니비푸드 잡화청, 2kg, 1개! 지금 쿠팡에서 더 저렴하고 다양한 잼/꿀/시럽 제품들을 확인해보세요.www.coupa.. 2024. 8. 26.
원천징수란?(원천징수의무자, 원천징수세액) 소득 또는 수입 금액을 지급하는 자(원천징수의무자)가 그 금액을 지급할 때, 상대방(원천납세의무자)이 내야 할 세금을 미리 징수하여 국가에 납부하는 조세 징수 방법 중의 하나이다(네이버 백과사전) 즉, 소득금액을 지급하는 자가 근로자에게 소득을 지급할 때 세액을 징수하여 대신 납부하는 것을 원천 징수라고 합니다. 근로자는 계약에 따라 상용근로자와 일용근로자로 나눠지는데, 상용 근로자에게 급여를 지급할 땐 근로소득 간이 세액표(국세청홈페이지에서 확인 가능)에 의해 소득세 및 지방세를 원천 징수하게 됩니다. 원천 징수한 세액은 다음 달 10일까지 국세청에 납부해야 합니다. 원천징수 의무자는 원천 징수대상이 되는 소득이나 수입 금액을 지급하는 자를 말합니다. 원천 징수 대상 소득에는 근로소득(급여, 상여금 등.. 2023. 3. 8.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