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rigin="anonymous">
본문 바로가기
배움

퇴직할 때/퇴직하기 전 챙겨야할 6가지 필수사항

by 머니백 2023. 1. 25.
728x90
반응형



정년퇴직이든 희망퇴직이든 퇴직을 준비한다면 미리 알아 둬야 할 것들이 몇 가지 있다. 직장을 다니는 동안에는 직접 챙길 필요가 없었던 부분이지만, 퇴직 후에는 미지의 영역으로 크게 다가올 수 있다. 차근차근 알아보자.


퇴직금 수령


2022년 4월 14일 근로자퇴직급여 보장법 개정으로 퇴직연금제도 미가입자도 IRP 지급 의무화 대상이 되었다. IRP는 이직이 잦은 근로자들의 퇴직금을 한곳에 모아두었다가 노후에 연금으로 수령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2012년 7월 도입된 제도이다.
근로자가 55세 이전에 퇴직하면 퇴직금을 IRP에 이체하도록 하여 55세 이후 연금으로 수령할 수 있게 유도하여 노후 생활비로 활용하는 것이 목적이다.

(연령에 따른 퇴직금 수령방법)

*현금 수령한 경우에도 60일 이내 IRP 계좌로 입금하면 퇴직소득세를 환급받을 수 있음
*퇴직급여액이 300만 원 이하인 경우 현금 수령 가능
IRP로 퇴직금을 받아 연금으로 수령하면 퇴직소득세가 30~40%(11년째부터 40% 적용) 절감 효과가 있다. 그뿐만 아니라 IRP로 운용되는 퇴직금은 은퇴자가 부담스러워하는 건강보험료 부과 대상에도 제외된다.
*연간소득 : 금융소득(분리과세 제외), 사업소득(필요경비 공제 후 금액), 근로소득, 연금소득(공적 연금소득에 한함), 기타소득(필요경비 공제 후 금액)


국민연금 지역가입자 신고


직장에 다니는 동안에는 사업장가입자로서 소득의 9%에 해당하는 금액을 본인과 사업장의 사용자가 절반씩 부담(본인 4.5%, 회사 4.5%)하여 납부한다. 그러나 퇴직을 하게 되면 지역가입자로 신고하여야 한다.
소득 활동을 하지 않으면 납부 의무는 없지만, 노후 자금 증액을 위해서 지역(임의)가입자로 계속 납부하는 것이 유리하다. 국민연금 수령 나이를 확인하여 노후 생활비 계획을 세우고 소득 활동이 없다면 일정 연령 해당 시 조기에 연금을 받을 수 있는 조기노령연금 제도도 알아 두면 유용하다.

국민연금 지급개시 연령

실업급여 신청


실업급여란 근로자가 갑자기 실직했을 때를 대비해 재취업 활동을 하는 기간 동안 소정의 급여를 지급함으로써 생계 불안을 극복하고 생활의 안정을 도모하기 위한 제도이다.
실업급여를 받으려면 퇴직 전 18개월 중 180일 이상 유급으로 근무하다 자발적 퇴직이 아닌 경영상 해고, 권고사직, 계약 기간만료, 정년퇴직 등 회사 사정에 의한 사유로 직장을 그만둔 상태여야 하며, 직장을 그만둔 상태에서 근로 의사와 능력을 갖추고 적극적으로 취업 활동에 나서야 한다.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에 방문하여 실업급여 수급 자격 인정 신청을 하면 된다. 최소 120일에서 최대 270일까지 수령 가능하며 1일 상한액은 66,000원이다.


건강보험료 관리


건강보험료도 국민연금과 마찬가지로 직장에 다닐 때는 회사에서 50%, 개인이 50% 절반씩 납부하였다. 하지만 퇴직 후에는 개인이 100% 내야 하기 때문에 부담이 더 클 수밖에 없다.
국민건강보험료는 국민연금과 달리 일정 기준으로부터 평생 납부해야 하며 퇴사한다고 해도 건강보험료는 계속 납부해야 한다. 피부양자로 등재가 된다면 별도의 보험료를 납부하지 않고도 건강보험 자격이 유지된다.
퇴직 시 제일 부담스러운 부분이 건강보험료인 만큼 퇴직을 고려한다면 미리 피부양자 자격을 확인해 보자.

피부양자 자격 상실 요건

위 기준에 따라 피부양자 자격 취득이 어렵다면 임의계속가입 제도도 확인해 보자. 퇴직 후 지역가입자로 전환되어 납부해야 하는 보험료가 퇴직 전 보험료(본인부담분)보다 많은 경우 최대 36개월까지 이전 보험료 수준으로 납부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직장가입자와 동일하게 피부양자 등재도 가능한 제도이다.
퇴직 이전 18개월 기간 동안 사업장과 관계없이 1년 이상 직장가입자 자격을 유지한 사람으로 퇴직 후 최초 받은 지역보험료 고지서 납부 기한으로부터 2개월 이전까지 신청이 가능하다.


보장성보험 확인


나이가 들수록 의료비 증가는 불가피하다. 아프거나 다쳤을 때 의료비를 지원해 주는 보장성보험의 중요성은 퇴직 후 더욱 커질 것이다. 보장성보험의 각종 제도를 확인해보자

감액완납제도
기존의 보험기간과 보험금 지급 조건을 바꾸지 않으면서 보장 금액만 낮추어 보험료를 감액하는 제도. 예를들어 암보험 보장 금액 1억 원 20년 납을 15년 후에 감액완납 신청하면 보장 금액 1억 원의 75%(15년/20년)인 7,500만 원으로 줄어들지만 보장 기간과 지급조건은 그대로이다.

보험료 자동대출납입제도
해약환급금 범위에서 대출을 받아 보험료를 대신 내는 제도이다.

연장정기보험
보험금을 줄이지 않는 대신, 보장받는 기간을 단축시켜 보험료를 부담하지 않는 제도이다.

단체보험의 개인 전환
단체보험은 회사가 보험료 전액을 지원하거나 일부 보험료를 부담하여 회사에서 단체로 가입하는 보험이다. 회사 내규나 보험 약관에 따라 단체보험을 개인보험으로 전환할 수 있는 상품도 있으므로 퇴직 전 회사 담당자에게 단체보험의 개인 계약 전환이 가능한지 확인해보아야 한다.

https://link.coupang.com/a/Ne5cY

라이프공방 로마 엔틱 벽시계무소음 벽걸이시계아날로그

COUPANG

www.coupang.com


시간 관리, 건강관리 등 비재무적 관리


막상 퇴직하면 예상치 못한 어려움을 호소하는 경우가 많다. 회사 중심으로 맺어온 인간관계가 퇴직과 동시에 단절됨으로 오는 고립감은 정신적, 육체적 건강에 영향을 준다. 많아진 시간을 어떻게 관리해야 할지 몰라 방황하는 경우도 많다.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 조사 결과 자료에 따르면, 22년 5월 기준 평균 퇴직 연령은 49.3세이며, 정년 60세 법안이 무색하게도 최근 10년간 50세를 넘지 못하고 있다.
한편, 한국인 평균수명은 통계청 자료를 보면 남자 80.5세, 여성 86.5세이다. 50세에 퇴직하여 30년 가까운 시간 은퇴 생활을 유지해야 하는 것이다. 퇴직 후 보내야 하는 시간이 많아진 만큼 시간 관리가 행복한 은퇴 생활을 좌우하게 된다.
길어진 노후를 대비해 재취업 준비
은퇴 후 일은 단순히 돈을 버는 것보다 하루를 보람차게 보내며 몸과 마음의 건강을 찾는 것이다. 돈이나 직위 중심이 아닌 하고 싶은 일을 찾아보자. 재취업을 준비하면서 새로운 목표를 가진다면 활력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다.

https://link.coupang.com/a/Ne4Le

애들랜드 큐브랜드 3 x 3 베이직큐브

COUPANG

www.coupang.com


재취업 정보 사이트
워크넷 www.work.go.kr
잡투게더 www.jobtogether.net
정부지원 일자리 www.work.go.kr/ilmoa/main.do

사회공헌활동, 봉사활동 사이트
1365자원봉사 포털 www.1365.go.kr
한국자원봉사센터협회 www.kfvc.or.kr
한국사회복지사협회 www.welfare.net
서울시 50+포탈 www.50plus.or.kr

인간관계 재정립
회사 중심의 인간관계를 부부, 자녀 등 가정 중심의 인간관계로 변화시키자. 서로의 생활을 존중하는 부부로 친구처럼 소통하는 부모로 변하자. 주변 이웃이나 취미를 공유할 수 있는 친구를 만든다면 더욱 풍요로운 은퇴 생활이 된다.

2019년 우리나라는 최빈사망연령이 90세를 넘어서면서 ‘100세 시대’에 이미 들어섰다. 짧지 않은 30~40년 은퇴 생활을 어떻게 준비하고 맞이하느냐에 따라 퇴직은 불안, 초조의 대상이 되기도 하고 설렘이 되기도 한다.
퇴직은 인생의 마무리가 아니다. 새로운 후반전이 열리는 아름다운 시작이다. 가족을 위해 잘 버텨온 전반전이었다면 스스로 퇴직을 축하하며 후반전은 나를 중심으로 새롭게 설계해보자.

KB골든라이프센터(대구) 김재 센터장
[출처: KB골든라이프X 기고문, 2022.12.09]


#투자 #연금(은퇴) #세테크 #퇴직시필요사항


https://link.coupang.com/a/Ne4fX

삼성전자 BESPOKE 큐브TM Air 공기청정기 그레이 AX053B810HGD 53㎡

COUPANG

www.coupang.com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을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