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ossorigin="anonymous">
본문 바로가기

유치권의 의의와 성립요건

by 머니백 2025. 2. 11.
728x90
반응형

유치권의 개념

“유치권”이란 타인의 물건 또는 유가증권을 점유한 자가 그 물건이나 유가증권에 관하여 생긴 채권이 변제기에 있는 경우에 변제를 받을 때까지 그 물건 또는 유가증권을 유치할 권리를 말합니다(「민법」 제320조제1항).
유치권자는 채권전부의 변제를 받을 때까지 유치물전부에 대하여 그 권리를 행사할 수 있습니다(「민법」 제321조).



1. 타인소유의 물건이나 유가증권

유치물이 타인의 물건(부동산 및 동산) 또는 유가증권이어야 합니다(「민법」 제320조제1항 참조).

2. 적법한 점유일 것

유치권은 유치하려는 목적물의 점유가 필요하며, 점유는 간접점유로도 가능합니다(대법원 2002.11.27. 선고 2002마3516 판결).
또한 그 점유가 불법행위로 인한 경우(예: 점유침탈한 경우)에는 적용되지 않습니다(「민법」 제320조제1항 및 제2항 참조).

3. 채권의 변제기가 도래할 것

유치권이 성립하려면 물건이나 유가증권에 관하여 생긴 채권의 변제기가 도래해야 합니다(「민법」 제320조제1항 참조).

4. 유치권 배제특약이 없을 것

당사자간에 유치권을 배제한다는 특약이 없어야 합니다. 유치권은 채권자의 이익을 보호하기 위한 법정담보물권으로서, 당사자는 미리 유치권의 발생을 막는 특약을 할 수 있고 이러한 특약은 유효하며, 이러한 특약에 따른 효력은 특약의 상대방뿐 아니라 그 밖의 사람도 주장할 수 있습니다(대법원 2018.1.24. 선고 2016다234043 판결).

5. 채권과 목적물 사이에 견련관계가 있을 것

유치권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채권이 유치권의 목적물에 관하여 생긴 채권이어야 합니다(「민법」 제320조제1항 참조).

* 유치권의 등기는 법률상 의무사항이 아니므로 등기가 안되어 있는 경우가 있음. 그러나 실제 경매나 소송과정에서 유치권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표시하기 위해 등기부등본에 기재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또한 법정요건을 갖추어야 하며 등기관이 이를 받아들여야 함.





728x90
반응형

댓글